•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근대 사군자
    전시기간 2024.09.03 - 24.12.31
    전시내용

    매화와 난초, 국화, 대나무의 사군자는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학, 풍속 속에서 오래 전부터 친숙하게 다루어졌던 식물입니다.
    이들 사군자에는 절개, 인고와 같이 문인 지식인층이 각별히 선호할만한 특성이 부여되었습니다.
    그래서 북송대 이후로 <매난국죽>은 각각의 이유로 문인사대부의 취향과 결부되어 더욱 선호되었으며,
    원명대를 거치며 사군자로 함께 묶여 문인화를 상징하는 화목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일찍이 <매난국죽>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매난국죽>을 즐겨 다루면서도 여기에 사군자라는 표현을 사용치 않았습니다.
    지금처럼 사군자가 <매난국죽>을 의미하게 되는 본격적인 시기는 근대기인 1920년대부터입니다.
    1900년대 초반을 전후한 근대기는 모든 면에서의 격변기였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비로소 <매난국죽>에 대해 사군자라는 명칭을 새로이 사용하기 시작하며,
    근대의 지식인들은 가장 전통적이고 가치지향적인 화목을 다시 돌아보고 조선인의 정체성을 탐구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오래된 전통의 화제가 사군자라 불리기 시작하던 시기, 이를 탐구하여 정체성과 시대성과 변화를 모색하던 당시 지식인들의 다양한 면모와 작품을 살펴보려 합니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관음보살 아미타여래 타라
    전시기간 2024.09.03 - 24.12.31
    전시내용

    탕카에는 여래와 보살, 호법신, 나한, 만다라, 티베트의 불교와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승려 등 주제가 표현되어 있다. 그 다양한 주제들 중에서도, 2024년 하반기 전시인 《관음보살 아미타여래 타라》는 티베트 사람들이 특히 더 중시하여 많은 작품이 남아있는 주제이다.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觀音菩薩에 대한 신앙은 불교문화권 전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이는 티베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티베트인들은 티베트가 관음보살의 정토淨土이며, 티베트 최초의 국가인 토번吐蕃 왕국을 세운 송첸감뽀 왕王과 현재 티베트인들의 정치적, 정신적 지주인 달라이라마 또한 관음의 화신이라고 믿었다.
    이에 사비관음四臂觀音, 십일면관음十一面觀音, 십일면천수관음十一面千手觀音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관음이 묘사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십일면관음은 송첸감뽀 왕이 개인적으로 모시고 공양하던 관음 보살이라 하여 더욱이 널리 숭배되었다.
    또한 관음보살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의 협시보살로, 아미타여래에 대한 신앙과 서방정토신앙西方淨土信仰과 관련된 수많은 탕카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관음보살을 살펴볼 수 있기도 하다.
    타라는 관음과 마찬가지로 자비의 상징으로, 티베트에서는 관음보살의 배우자로 간주되었다. 때문에 타라는 단독으로도, 관음보살의 배우자의 위치로도 많은 작품이 제작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티베트의 관음보살을 중심으로 그와 연관이 깊은 아미타여래와 타라의 탕카까지 두루 살 펴보려 한다. 여기에는 우리에게도 친숙한 관음보살이라는 주제에 대한 티베트인들의 해석과 관점, 역사 문화가 담겨있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古人物展
    전시기간 2024.03.05 - 2024.06.30
    전시내용

    화정박물관은 2024년 상반기 특별전 <古人物展>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사람'을 중심으로 표현한 한국, 중국, 일본의 그림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전시입니다.

    전시는 Portrait - Ideal Life - Extraordinary Life - Into the Real Life로 크게 나뉩니다.

    첫 번째 Portrait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초상화를 살펴보며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 Ideal Life는 옛사람들이 지향한 이상적인 삶을 살았던 인물들의 일화를 묘사한 작품들을 살펴봅니다.

    세 번째 Extraordinary Life는 신선이 된 인물의 이야기이나 신비한 능력을 가진 승려와 같은 신통한 이야기가 담긴 작품을 전시합니다.

    마지막 Into the Real Life는 실제 당시 인물들의 모습이 표현되었거나 대중에게 인기가 있었던 대중문화를 그림으로 구현한 작품을 살펴봅니다.

    인물화는 인간이 존재하는 순간부터 함께 해온 그림 장르입니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종교와 문화, 사상 등 인간의 관심사가 표현된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形形色色
    전시기간 2023.6.27 - 12.31
    전시내용

    2023년 화정박물관 중국도자공예 특별전

    ▶ 〈形形色色〉 특별전에서는 화정박물관의 소장품 가운데 다양한 형태와 다채로운 색상의 중국 도자기 공예품 207점이 공개된다.

    ▶ 신석기시대의 채도에서부터 녹유·삼채등의 연유 도기, 청자靑磁와 백자白磁, 청화백자를 비롯하여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더한 명·청시대의 색유色釉 자기, 오채五彩, 분채粉彩 자기까지 한자리에서 관람할 수 있다.

    ▶ 〈形形色色〉 전시는 부장품과 생활용품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1. 부장품, 내세의 안녕을 담다

    1) 부장품에는 고대 사람들의 내세관이 반영되어 있다.

    2) 죽은 이후에도 삶이 지속된다는 믿음과 그들의 평안과 안녕을 바라는 마음을 담아서 다양한 부장품을 제작하여 무덤에 함께 묻었다.

    3) 인물형 도용陶俑을 비롯하여, 집과 가축 등의 모형, 무덤을 지키는 진묘수鎭墓獸, 곡창穀倉과 혼병魂甁, 그리고 음식 명기明器 등 각종 부장품이 전시되는데, 시대마다 변화와 차이를 보인다.


    2. 생활용품, 일상을 담다

    1)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거나, 주변을 장식한 각종 도자기를 살펴본다.

    2) 각종 기형과 쓰임 등에 따라서 분류하고, 그 안에서 다양성과 함께 시대적 흐름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호壺, 관罐, 병甁, 접시, 완碗, 잔盞, 주전자를 비롯하여 문방구文房具, 향로와 같은 향구香具, 촛대와 유등과 같은 등기구燈器具, 화병花甁, 모자걸이冠架, 비연호鼻燃壺 등 특정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실용적인 각종 도자기를 비롯하여 실용성을 넘어 장식성이 강조된 도자 및 장식용 병 세트가 함께 전시된다.

    4) 아울러 금속기와 형태적으로 관련성을 보이는 청대의 도자 팔보八寶, 분파호賁巴壺, 다목호多穆壺 등도 함께 살펴볼 수 있다.


    ▶ 흙을 빚어서 형태를 만들고, 다양한 안료와 기법으로 장식하여, 불로 완성한 도자기는 인류의 소중한 발명품이다. 사람들은 불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를 적절히 이용하면서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 내어 일상생활에 필요한 많은 기물을 제작해 냈다. 도자기는 음식을 담기 위해 제작한 것이 그 시작이겠으나, 형형색색의 다양한 도자기 안에는 이를 빚고 만들어낸 당시 사람들의 기술력과 미감美感, 사용하던 사람들의 취향과 문화가 모두 집약되어 담겨 있다. 〈形形色色〉 특별전을 통해서 이를 함께 향유해 볼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해본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티베트 불교의 수호신
    전시기간 2023.6.27 - 12.31
    전시내용

    티베트의 불교미술에는
    다양한 수호신들이 표현되어 있다.
    이들은 불교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개인을 보호해주고 나라 또는 사원을
    지켜주기도 했으며,
    한편으로는 티베트 불교의 특정 종파의 수호신으로
    자리매김 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했다.

    탕카에 표현된 티베트 불교의 수호신들은
    불교가 티베트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불교의 힘,
    또는 특정 승려의 강력한 힘에 패배한
    티베트의 토착신이 불교의 수호신으로
    편입되는 경우도 있으며,
    불교의 발생지인 인도의 토착신이
    불교의 수호신으로 전환되어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티베트 불교의 수호신들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얼굴에 큰 눈을 부릅뜨고,
    여러 개의 팔다리에 다양한 무기를 들고 있는 위압적인
    모습으로 묘사되곤 한다. 이러한 형태적 특징은 이들의
    강력한 힘을 상징하는 것으로,
    화정박물관에서 개최했던 2019년의 <석가여래>
    2020년의 <티베트의 여래와 보살> 전시와
    비교하면 한국인의 눈에는 매우 이국적인 형태이기도 하다.

    기존의 전시에서는 한국과 티베트의 공통의 주제를
    통해 탕카에 접근해 보았다면,
    2023년의 탕카 전시는 이국적인 소재를 통해
    불교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는
    기회로 삼아보고자 한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Life. Flowers. Plants
    전시기간 2022.11.22 - 2023.06.04
    전시내용

    화정박물관 소장 중국 회화 공예 특별전

    화정박물관이 소장한 꽃과 나무들이 표현된

    중국의 옛 회화와 공예 작품들이 공개됩니다.

    계절의 흐름에 따라 회화와 공예에 표현된

    꽃과 나무를 다양하게 살펴보며

    이들을 선택해 표현한 의도와 숨어있는 상징 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수많은 꽃과 나무들 중에서도 예부터 특히 선호되어

    많이 표현되어 많이 표현된 꽃과 나무가 있었으며

    여기에는 자손의 번성과 출세, 장수 등 당시 사회와

    문화와 추구하던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꽃과 식물의 이미지는

    전통사회에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서계 각지에서 보편적으로 사랑받는 소재였습니다.

    이를 살펴봄으로써 화정박물관의 2022년 특별전이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이어지는

    문화의 뿌리와 또다른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또 하나의 관점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해 봅니다.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민화民畵 : 병풍屛風
    전시기간 2022.11.22 - 2023.06. 04
    전시내용

    기획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화양연화花樣年華
    전시기간 2022.05.10 - 2022.10.30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일상다반사日常茶飯事
    전시기간 2020.03.03 - 2021.01.24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유럽으로 건너간 중국부채
    전시기간 2019.09.03 - 2020.02.16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L'arte della FARMACIA 유럽 약국의 예술, 약항아리
    전시기간 2019.03.21 - 2019.08.18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서여기인書如其人
    전시기간 2018.09.04 - 2019.02.24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복록수福祿壽
    전시기간 2018.01.24 - 2018.08.19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BON APPÉTIT!
    전시기간 2017.04.25 - 2017.12.31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화정和庭의 사치향락奢侈享樂
    전시기간 2016.04.17 - 2017.02.28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동물원
    전시기간 2015.03.28 - 2016.02.29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사계화훼四季花卉
    전시기간 2014 .03.29 - 2014.12.31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LUST Ⅱ
    전시기간 2013.04.21 - 2013.09.29
    전시내용

    춘화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티베트의 유산
    전시기간 2012.03.15 - 2013.02.28
    전시내용

    탕카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아프리카의 탈
    전시기간 2012.03.15 - 2012.08.19
    전시내용

    명인박물관 소장품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의 · 식 · 주
    전시기간 2011.05.17 - 2012.02.29
    전시내용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LUST
    전시기간 2010.09.14 - 2010.12.19
    전시내용

    춘화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탕카의 예술 Ⅲ - 티베트 사자의 서와 정토
    전시기간 2008.05.06 - 2009.05.31
    전시내용

    탕카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탕카의 예술 Ⅱ - 산 위의 여신들
    전시기간 2007.11.06 - 2008.04.27
    전시내용

    탕카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탕카의 예술 Ⅰ- 석가여래도
    전시기간 2007.05.02 - 10.28
    전시내용

    탕카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유럽의 약항아리
    전시기간 2006.12.01 - 2007.04.15
    전시내용

    화정박물관 소장 유럽의 약항아리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아시아를 조응하는 눈
    전시기간 2006.05.30 - 11.30
    전시내용

    화정박물관 평창동 개관 기념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유럽과 동아시아 부채
    전시기간 2002.06.12 - 2002.09.29
    전시내용

    화정박물관 소장 부채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중국미술소장품
    전시기간 2000.09.21 - 2002.12.20
    전시내용

    중국미술소장품 특별전

  • 지난전시 썸네일
    전시명 티베트의 미술
    전시기간 1999.09.16 - 1999.12.12
    전시내용

    티베트의 미술

페이지 위로